프론과 쉬림프: 두 새우의 미묘한 차이점을 알아보자
국내에서 새우를 취급할 때에는 보통 '새우'라고 일괄적으로 부르곤 합니다. 하지만 해외 레스토랑의 메뉴판을 살펴보면, 쉬림프(Shrimp)와 프라운(Prawn)으로 구별되어 나타나곤 하죠. 그래서 이 두가지가 무엇인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지는 순간이 오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그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크기로 구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일반적으로, 새우는 크기에 따라 쉬림프와 프라운으로 구분됩니다. 해외 레스토랑의 메뉴판에서 크기가 큰 새우를 이용한 요리에는 ‘프라운(Prawn)’이라는 이름이 붙고, 상대적으로 작은 새우를 사용한 요리에는 ‘쉬림프(Shrimp)’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이는 가장 단순하게 이 두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생태학적인 차이점: 알을 어떻게 품고 있는가?
구별의 또 다른 방법은 알을 어떻게 품고 있는지에 따른 것입니다. 쉬림프는 알을 직접 품고 있으며, 산란기에는 알 뭉치를 드러내며 미식의 재료로도 사용됩니다. 반면 프라운은 알을 낳아 떨어트려서 부화시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쉬림프와 프라운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껍질의 구조: 어떤 껍질이 어떤 껍질을 덮고 있는가?
새우 껍질의 구조도 두 종류를 구별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쉬림프는 머리 다음 껍질을 '1번'이라고 하면, 그 다음 껍질은 '2번'입니다. 이 2번 껍질이 1번과 3번을 덮고 있으면 그것은 쉬림프입니다. 반면, 프라운은 새우 껍질이 첫마디부터 차례대로 덮여 있을 경우 그것으로 구분됩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본 차이
쉬림프와 프라운은 진화론적 관점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들은 형성된 골격과 뼈, 형태적 차이, 생태 및 생리적 차이 등 다양한 방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부채새우는 어디에 속하는가?
부채새우는 이 두 종류 중 어디에 속하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부채새우는 실제로 로브스터(lobster), 즉 바닷가재류에 속합니다. 이는 딱딱한 외피와 진화론적인 공통분모 때문입니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새우는 크게 쉬림프와 프라운으로 구분되며, 이외에도 집개발을 가진 로브스터, 집개발이 없는 닭새우(스파이니 랍스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렇게 미묘한 차이점을 알고 나면, 다음에 메뉴판을 볼 때 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키워드: 프라운, 쉬림프, 새우, 껍질의 구조, 생태학적 차이, 진화론적 차이, 부채새우, 로브스터, 닭새우, 메뉴판
'어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낚시 어종 물고기 4대돔(참돔-상사리,감성돔-감생이,돌돔-뺀찌,벵에돔) + 농어 새끼 이름 별칭 방언 일본이름, 영어이름 (0) | 2023.11.11 |
---|---|
송어회 제철 효능 칼로리 (0) | 2023.10.30 |
민물 말조개 효능 부작용 요리법 생태 특징 (0) | 2023.10.09 |
방어 부시리 구별법 (0) | 2023.10.03 |
무늬오징어 시즌과 포인트별 낚시 철 (0) | 2023.07.29 |
목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