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섬 산 강 바다 관광지 시장 숙소

구례 가볼만한 곳 화엄사 입장료 주차

by 수달수달김수달 2023. 12. 14.

구례 가볼만한 곳 화엄사 입장료 주차

  • 운영 시간: 매일 00:00 ~ 18:00 - 일몰 후 입장금지
  • 연락처: 061-783-7600
  • 주소: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 입장료: 무료

화엄사 입장료:

화엄사 입장료는 기본적으로 어른 4,000원 청소년 2,000원 어린이 1,500원이라고 적혀있었는데, 23년 5월부터는 무료입장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옆 매화구례 화엄사 각황전 옆 매화구례 화엄사 각황전 옆 매화
구례 화엄사 각황전 옆 매화

구례는 봄을 알리는 봄꽃들로 유명한 곳입니다. 구레 산수유 축제를 비롯해서, 매화까지 유명한 곳입니다. 특히 구례 화엄사 홍매화는 320년의 수령을 자랑하며 포토그래퍼들의 봄 출사 코스 버킷리스트로 꼽히는 곳입니다.

화엄사 주차:

화엄사는 제가 방문했을 당시, 연휴 중에 방문한 거라 그런지 차가 정말 많아서 주차장에 빈 자리 찾는 게 헬일 정도였습니다. 이렇게 만차인 경우엔 사람이 먼저 자리를 맡아두는 것도 불가능하니, 차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빈자리에 들어가는 방식이 있었는데요.

기본적으로 주차장이 그리 넓지 않아서 보통 갓길에 주차를 하고 많이들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차 꿀팁!

오히려 화엄사 완전 입구까지 쭈욱 차를 끌고 들어가세요. 오히려 입구쪽까진 차가 많이 들어서지 않아서 주차가 훨씬 수월했습니다.

오히려 화엄사까지 올라오면 차가 없어요... 물론 이쪽은 화엄사 템플스테이 방문객 차량이 주차하는 곳이어서 더욱 없긴 했습니다.


화엄사 창건과 중건

노트:

  • 〈사적기〉에 의하면 544년(진흥왕 5) 인도승 연기조사가 창건했다고 하나, 다른 사서에는 창건주와 연대가 불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
  • 1979년 황룡사지 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의 발문에 의하면 754년(경덕왕 13) 황룡사 연기조사의 발원으로 화엄사를 창건했다고 되어 있다.
  • 창건 이후 신라 말 도선국사에 의해 중수되었고, 고려시대에는 홍경선사, 문종, 인종, 조형왕사 등이 중수 및 보수했다.
  •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1630년(인조 8) 벽암대사에 의해 중건되었다.
  • 1702년(숙종 28) 성능에 의해 장륙전이 중건되고 각황전으로 사액되었다.

화엄사는 지리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창건연대와 창건주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었으나, 1979년 황룡사지 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의 발문에 의하면 754년(경덕왕 13) 황룡사 연기조사의 발원으로 화엄사를 창건했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절의 창건연대와 창건주가 분명하게 밝혀졌으며, 절의 이름은 〈화엄경〉에서 2자를 따온 것이다.

화엄사는 창건 이후 신라 말 도선국사에 의해 크게 중수되었고, 고려시대에는 홍경선사, 문종, 인종, 조형왕사 등이 중수 및 보수했다.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1630년(인조 8) 벽암대사에 의해 중건되었다. 벽암대사는 대웅전, 요사채, 장륙전 등을 중건하고, 1636년 대웅전과 요사채 등이 완공되었다.

1702년(숙종 28) 벽암선사의 제자였던 성능이 장륙전을 중건하고 다음해에 삼존불과 보살상 4구를 완성하고는 경찬대법회를 열었는데, 이때 숙종이 각황전이라 사액하고 화엄사를 선교양종대가람이라 했다.

화엄사는 현재 지리산국립공원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웅전, 각황전, 장륙전, 대각국사비, 홍제암, 홍류동 계곡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각황전은 화엄사 최고의 전각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숙종 30년(1704년)에 완공되었다. 각황전의 삼존불은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약사여래불로, 모두 석조로 조성되었다.

화엄사는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사찰 중 하나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사찰이다.

반응형

목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