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왕 계보, 왕 순서 고려왕조 계보도
고려 왕조의 시작과 태조 왕건
고려 왕조는 918년 태조 왕건에 의해 창건되었습니다. 태조는 북진정책과 혼인관계를 통한 호족세력 포섭으로 왕권을 안정시켰으며, 고려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초대 왕들의 통치와 고려의 안정
- 혜종(943-945): 왕건의 장자로, 외가의 지지가 약해 재위 기간이 짧았습니다.
- 정종(945-949): 왕건의 아들로, 왕식렴과 박술희를 제거하고 왕위에 올랐으나 정통성이 약했습니다.
- 광종(949-975): 왕건의 아들로, 노비 안검법과 과거 제도를 도입하여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고려 중기의 변화와 발전
- 경종(975-981): 광종의 맏아들로, 전시과 제정 등을 통해 재위했습니다.
- 성종(981-997): 태조 왕건의 손자로,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채택하고 중앙집권적 국가운영체계를 구축했습니다.
- 목종(997-1009): 경종의 맏아들로, 학문을 장려하고 대리청정을 행했습니다.
외침과 대응: 현종과 덕종
- 현종(1009-1031): 태조 왕건의 손자로, 거란군의 침략에 맞서 대장경을 제작했습니다.
- 덕종(1031-1034): 현종의 맏아들로, 국자감시 실시와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했습니다.
문화와 정치의 발전
- 정종(1034-1046): 천리장성을 완성하고 노비종모법을 제정했습니다.
- 문종(1046-1083): 고려시대 중 가장 찬란한 문화황금기를 이룩했습니다.
고려 후기: 혼란과 변화
- 순종, 선종, 헌종, 숙종, 예종, 인종: 이 시기에는 다양한 제도 도입과 정치적 변화가 있었습니다.
- 의종, 명종, 신종: 무신정변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이 있었습니다.
- 희종, 강종, 고종: 몽골의 침입과 강화로의 천도가 일어났습니다.
- 원종, 충렬왕, 충선왕: 친몽정책과 왕위 계승 문제가 중요한 이슈였습니다.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정권다툼과 외세의 간섭이 계속되었습니다.
고려 말기: 개혁과 몰락
- 공민왕(1351-1374): 고려 재건을 위한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 우왕, 창왕: 조선 건국의 서막이 되는 시기로,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었습니다.
- 공양왕(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신종의 7대손이었습니다. 이후 조선으로의 국가 체제가 변경됩니다.
고려 왕조는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변화를 겪으며 한반도의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각 왕의 통치 기간과 업적을 살펴보면, 고려의 역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고려 왕조, 고려 왕 계보, 태조 왕건,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목종, 현종, 덕종, 문종, 순종, 선종, 헌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원종,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우왕, 창왕, 공양왕.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포 무인텔 라붐 드라이브인 모텔 (0) | 2023.11.14 |
---|---|
평창 휘닉스파크 스키장 개장일, 리프트권 할인 정보 (0) | 2023.11.12 |
스웨덴 칼스타드 스칸딕 윈 호텔 조식 뷔페 SCANDIC WINN HOTEL (0) | 2023.10.19 |
인천 청라 모텔 추천 - 서구청 심곡동 비욘드 호텔 (0) | 2023.10.18 |
진주 남강 유등축제 주차장, 불꽃놀이 시간 (0) | 2023.10.07 |
목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