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서해안 학꽁치낚시 시기/채비와 방법
학꽁치낚시는 초보자도 손쉽게 즐길 수 있는 낚시 종목 중 하나로, 학꽁치라 불리는 고급 횟감 어종을 낚을 수 있는 묘미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학꽁치낚시의 기기, 시기, 방법, 그리고 관련 정보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학꽁치의 올바른 표기법은 학공치입니다. 흔히 학꽁치라고 부르고 비슷하게 생겼지만 학공치는 꽁치와 전혀 다른어종입니다. 따라서 학공치라는 표준명이 정확한 이름입니다. 하지만, 워낙에 학꽁치로 검색을 많이 하시니...학꽁치라고 글을 쓰겠습니다.
학꽁치의 특징
학꽁치는 몸이 가늘고 길며 아래턱이 학의 뿌리처럼 길게 나와 있는 어종으로, 등 쪽은 청록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을 띄고 있습니다. 특히 아래턱의 끝은 적등색이며 은백색으로 깨끗한 모양과 더불어 담백한 맛을 지니고 있어, 고급 횟감으로 손꼽히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
학꽁치의 서식지
학꽁치는 우리나라 중남부와 동해남부 지역을 비롯하여 대만, 일본, 사할린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이 어종은 15~20도의 수온을 선호하며, 주로 1미터 이내의 수심에서 무리 지어 회유합니다.
산란 및 성장
학꽁치의 산란기는 4~7월로, 파도가 없는 내만의 해조에 산란한 뒤 2년이 지나면 성어로 성장합니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으로 인해 학꽁치낚시는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됩니다.
학꽁치낚시의 미끼와 방법
학꽁치를 낚을 때 사용되는 미끼로는 새우, 크릴, 갯지렁이 토막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학꽁치낚시 방법으로는 띄울낚시 또는 훌치기낚시가 널리 사용됩니다.
- 띄울낚시: 크릴이나 갯지렁이 토막을 미끼로 사용하며, 학꽁치 떼가 수면 근처에서 먹이를 노릴 때 효과적입니다.
- 훌치기낚시: 곤쟁이를 밑밥으로 던져주면 학꽁치떼를 모아가며 낚을 수 있습니다.
학꽁치낚시 시기
학꽁치낚시는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해서 이루어집니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3~4월이 학꽁치낚시 시기로 가장 적기입니다. 학꽁치는 산란을 하기 위해 해초가 있는 암초 주변이나 방파제에 나타나므로 이런 지역에서 낚시를 즐기기에 좋습니다.
학꽁치 낚시 방법
학꽁치는 작은 진동이나 소음, 때로는 낚싯대를 휘두르는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조용한 환경에서 낚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갯바위 주변, 방파제, 수중 여지대 등을 주로 활동하는데, 수면 표층에서 낚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학꽁치낚시 포인트
학꽁치낚시를 즐기기 위한 포인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시기: 봄부터 가을까지 지속되는데, 제주도에서는 3~4월이 가장 좋습니다.
- 낚시 장소: 암초 주변, 방파제, 수중 여지대 등 학꽁치가 활동하는 지역을 찾아가세요.
- 미끼: 크릴, 갯지렁이 토막, 곤쟁이를 미끼로 활용하세요. 이 중에서도 곤쟁이가 제일 좋습니다.
- 낚시 방법: 띄울낚시와 훌치기낚시 중 선택하여 시도해보세요.
- 조용한 낚시: 학꽁치는 소음에 민감하므로 조용하게 낚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해안과 서해안에서 즐길 수 있는 학꽁치낚시는 어린이나 초보자에게도 추천하는 낚시 종목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미끼와 방법을 활용하여 이 멋진 어종을 낚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학꽁치낚시를 통해 자연과의 소통과 힐링을 경험해보세요.
'낚시채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오징어 낚시 시즌 무늬오징어 갑오징어 차이 (0) | 2023.10.12 |
---|---|
갑오징어 낚시 채비, 쭈꾸미낚시 직결 채비법 (0) | 2023.10.06 |
고등어 낚시 채비 전갱이 민장대 채비법 (0) | 2023.10.02 |
선상 문어낚시: 이렇게 하면 성공 확률이 높아져요 (0) | 2023.09.20 |
서해 보구치 - 백조기 낚시 채비 시기 미끼 (0) | 2023.09.13 |
목차
댓글